반탈형동사의 완료형이 수동 완료 형태로 표현되는 이유

1. 반탈형동사의 기본 특징

반탈형동사(semideponent verb)는 미완료 시제에서는 능동형을 쓰고, 완료 시제에서는 수동형을 쓰는 동사이다.

예제: 라틴어 "mori" (죽다)


2. 왜 완료 시제에서 수동형을 쓰는가?

완료 시제에서는 상태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 수동태 형태를 사용한다.

🚀 핵심 개념: "상태 변화"를 강조하기 위해 수동태 사용

예제: "mori" (죽다)

💡 여기서 중요한 점은, 이게 진짜 수동 의미를 가지는 게 아니라, 상태 변화를 표현하는 용법이라는 것!

이걸 프랑스어로 가져오면:

즉, 라틴어에서는 "mori" 같은 동사의 완료형이 본래 수동태 형태였기 때문에, 이 구조가 프랑스어까지 영향을 미친 것이다.